제1차 세계대전 당시 악명 높았던 겨자 가스의 6가지 진실
제1차 세계대전 당시 악명 높았던 겨자 가스의 6가지 진실
우리 인류는 이미 오래전부터 화학물질이 사람에게 치명적인 살상무기가 된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다. 창이나 칼 끝에 독약을 바르는 방법은 청동기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게 된다. 비소를 섞은 연기, 유황 등을 태운 독성연기, 고춧가루를 바람에 날리는 등의 방법 등은 고대시대부터 각 나라별로 시행되어져 온 방법이다.
1914년 7월 발발한 제 1차 세계대전은 초기부터 화학전을 시작하게 된다. 당시 독일은 전쟁을 빨리 끝내기 위해 최루가스를 시작으로 염소가스 살포, 염소가스와 포스겐을 혼합한 독가스를 연합군에게 살포하기 시작한다. 분노한 연합군은 '헤이그 협력' 위반이라고 항의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자 연합군 또한 포스겐을 양산해 맞대응을 하기 시작한다. 포스겐은 제 1차 세계대전 기간동안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약 8만명 이상의 군인이 목숨을 잃은 것으로 추정된다.
독일군은 당시 포탄에 담긴 독가스의 규제만 존재할 뿐 실린더를 이용한 직접 가스 방출은 헤이그 협력 위반이 아니라는 궤변을 늘어놓게 됨.
이후 양쪽은 치열하게 화학전을 벌이게 되며 독일은 더욱더 강력한 화학무기를 개발하게 된다. 이것이 제1차 세계대전시 가장 악명 높았던 '머스타드'라고 불리는 겨자 가스이다. 약하게 풍기는 겨자 냄새와 연한 노란색을 제외하면 일반적인 포격에 쓰이는 방식이라 연합군이 눈치채기 어려워 의문의 독가스로 인한 사상자는 크게 늘어나게 된다. 연합군은 독일군의 보급창고를 점령하고 나서야 이 가스의 정체를 알수 있게 된다. 지금부터 이 끔찍한 대량 살상무기였던 겨자 가스에 대해 알려지지 않은 6가지 사실을 이야기 해본다.
1. 독일은 제1차 세계대전 이전부터 겨자 가스를 연구
2. 제1차 세계대전 중 연합군도 겨자 가스를 비축 / 사용
3. 독일은 포탄 뿐만 아니라 로켓트, 자유낙하 폭탄, 박격포, 지뢰를 이용하여 겨자 가스를 전달하는 시스템을 개발
4. 제2차 세계대전에서 연합군은 겨자 가스 및 화학 무기를 비축
5. 겨자 가스는 치명적인 살상 무기가 아니었다.
6. 겨자 가스로 인한 최초의 항암제 개발
'밀리터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세기 특수작전의 원칙을 바꾼 데베카 계곡 전투 (1) | 2018.07.07 |
---|---|
한국전쟁에 참여했던 유명한 헐리우드 스타 4인방 (0) | 2018.07.05 |
미 대통령 전용기 에어 포스 원(Air Force One)의 놀라운 4가지 사실 (0) | 2018.07.04 |
역사속으로 사라진 어깨걸이 활강총 브라운 베스 머스킷 (0) | 2017.05.20 |
한국형 대전차 미사일 현궁, 미국의 재블린을 능가하나? (0) | 2017.05.19 |